'구글'에 해당되는 글 4건
- 2008.09.03 크롬.. (2)
- 2007.08.27 구글 검색을 효율적으로 해보자~ (2)
- 2006.09.03 You Google it? (6)
- 2006.08.23 신기한 리퍼러.. -_-;; (6)

크롬.. 장난 아닌데..
정말 구글의 지구정복이 시작된건지.. ㅋㅋㅋㅋ
Active X 지원이 아쉽지만, 이 놀라운 브라우징 속도는 어쩔겨..
덕분에 웹서핑이 즐겁구나~
날로 날로 발전해주라~ ㅋㅋㅋㅋ
------------------------------------------------
◦ 검색 연산자 활용 기본 사용법
- 기본 연산자 : 연산자:검색어(“:”사이의 공백 없음)
【활용 예시】
1) intext:"교육인적자원부" → 문서내용에 “교육인적자원부”라는 문자열이 포함하는
문서를 검색
2) intext:"교육인적자원부“ ≠ intext:교육인적자원부 → ‘”’를 생략할 경우 문자열의
일부분이 포함되는 문서까지 검색 됨
- 논리 연산자 : and, or, not
· and : “and” 또는 공백(주로 공백)으로 입력
【활용 예시】
1) intext:"교육인적자원부" "내신성적" → 문서내용에 “교육인적자원부”라는 문자열을
포함하고, 문서의 제목과 내용에 “내신성적”이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문서 검색
2) intext:"교육인적자원부" intext:"내신성적" → 문서내용에 “교육인적자원부”라는
문자열과 “내신성적”이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문서 검색
· or : 대문자 “OR” 또는 “|”를 입력
【활용 예시】
1) intext:"교육인적자원부" OR intext:"내신성적" → 문서내용에 “교육인적자원부”
또는 “내신성적”이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문서 검색
· not :“-”으로 입력
【활용 예시】
1) intext:"교육인적자원부" -"내신성적" → 문서내용에 “교육인적자원부”라는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고, “내신성적”이라는 문자열은 포함되어 있지 않는 문서 검색
❑ 구글의 주요 연산자 활용 방법
▪ intitle, allintitle : 페이지의 제목에서 검색
- intitle : intitle 뒤에 오는 단어나 구 하나만이 연산자의 영향을 받음
- allintitle : allintitle 뒤에 오는 모든 단어와 구가 연산자의 영향을 받음
【활용 예시】
1) intitle:“index of”또는 intile:index.of (“.”=모든문자) → 문서의 제목에
“intext of"를 포함하는 문서를 검색하며, 이는 File 서비스 사이트를 검색하는
결과를 갖는다.
2) intitle:“index of”“backup files” ≠ allintitle:“index of”“backup files”
→ intitle은 문서제목에 "index of"라는 문자열을 포함하고, 문서제목과 내용
에 “backup files"라는 문자열을 포한하는 문서를 검색하는 반면, allintitle
은 문서제목에 ”index of"와 “backup files"를 포함하는 문서를 검색한다.
즉, intitle:"index of" intitle:"backup files"와 같다
▪ intext, allintext : 페이지 본문에서 문자열 검색
- intext : intext 뒤에 오는 단어나 구 하나만이 연산자의 영향을 받음
- allintext : allintext 뒤에 오는 모든 단어와 구가 연산자의 영향을 받음
【활용 예시】
1) intext:"교육인적자원부" → 문서의 내용에“교육인적자원부”라는 문자열을 포함
하는 문서를 검색
2) allintext: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 문서의 내용에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를 포함하는 문서를 검색
▪ inurl, allinurl : URL에서 문자열 검색
- 제약사항
URL의 프로토콜 부분(http://)을 검색하지 못함
URL에 포함되는 특수문자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함
고급연산자 "site", "filetype"이 inurl보다 URL 내부의 특정 위치를 더 구체적으로
찾을 수 있음
【활용 예시】
1) inurl:admin backup : URL에“admin”이 포함되어 있고 문서의 내용 및 제목 등
모든 부분에 “backup”포함되어 있는 문서 검색
2) allinurl:admin backup : URL에 “admin”과 “backup”이 포함되어 있는 문서 검색
▪ site : 특정 사이트로 검색 범위를 좁힘
- 특징 : 구글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음
【활용 예시】
1) site:moe.go.kr : "moe.go.kr"이라는 URL을 사용하는 모든 사이트 검색
2) intitle:"index of" site:moe.go.kr : "moe.go.kr"이라는 URL로 서비스되는 사이트
중에서 File 서비스가 있는 사이트를 검색
3) intext:"자기소개서" site:moe.go.kr : “moe.go.kr"이라는 URL로 서비스되는 사
이트 중에서 문서내용에“자기소개서”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문서 검색
4) intext:"이력서" site:ac.kr filetype:hwp : “ac.kr”즉 대학 사이트 중에서 문서
내용에 “이력서”라는 문자열을 포함하고, 파일은 "hwp" 인 문서(파일)을 검색
※ 이러한 검색에 의해 개인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음
▪ filetype : 특정 종류의 파일 검색
【활용 예시】
1) filetype:hwp : 확장자가“hwp"인 파일을 갖는 사이트(문서) 검색
▪ link : 페이지로의 링크를 찾음
【활용 예시】
1) link:moe.go.kr :“moe.go.kr”로 링크하고 있는 페이지 검색
▪ inanchor : 링크 문자열 내에서 검색
- 특징 : 실제 URL이 아니라 텍스트로 표현된 형태의 링크를 검색
【활용 예시】
1) inanchor:neis.go.kr : 텍스트 형태로 “neis.go.kr”을 포함하고 있는 페이지 검색
▪ numrange : 숫자 범위를 검색
- “-”기호로 연결된 작은 숫자와 큰 숫자를 인자로 받아들임
【활용 예시】
1) numrange:12344-12346 : 12344에서 12346사이의 숫자를 포함하는 문서 검색
2) 12344..12346 : “numrange:12344-12346”와 같은 효과를 갖음
▪ info : 사이트에 대한 요약 정보를 출력하며 사이트와 관련된 다른 구글
검색으로의 링크를 제공
- 인자 값으로는 완벽한 URL이나 호스트 이름을 입력하여야 올바른 결과를
얻을 수 있음
【활용 예시】
1) info:www.moe.go.kr : www.moe.go.kr에 대한 요약 정보와 링크되거나 유사 사이트를
검색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
▪ related : 특정 사이트와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사이트 검색
- 인자 값으로는 유효한 사이트 이름이나 URL을 입력
【활용 예시】
1) related:www.moe.go.kr : www.moe.go.kr를 링크하고 있는 사이트를 검색
메리엄-웹스터(Merriam-webster)는
올해 말에 나올 '메리엄-웹스터 컬리져트 딕셔너리' 11번째 판에
구글(Google)과 구글링(Googling)을 실을 예정이라고 한다.
뜻으로는 '구글 : 전 세계 웹에서 정보를 얻기 위해 구글의 검색엔진을 사용하는 것' 이라고..
실제로 현재 미국에서 엄밀히 말하면 대학교를 비롯한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You google it? 너 구글로 찾았냐? 는 사전적 의미이며,
일반적으로 너 검색으로 찾았어? 정도로 사용된다고 한다.
Google의 CEO는 Google의 의미가 그렇게 사용되지 않았음 한다는데,
미국 젊은이 들도 우리나라 얘들(?)처럼 은어와 약어를 쓰기 좋아하나부다. ㅋㅋ
아님 그 정도로 인지도가 있던지..
그런데 이런 류의 단어로는 여러 개가 있는데.. 살펴보면..
복사기의 대명사 '제록스(Xerox)'이다. '제록스로 복사하다'라는 의미로 웹스터 사전에
올라가 있으며, You xerox it?'이란 '너 제록스로 그거 복사했냐?' 인데..
이것 역시 복사의 일반적인 의미를 가져서, '너 그거복사했냐?'로 사용된다고 한다.
그리고 또 하나 코카콜라에서 따왔다는
'Coca-colonize'는 '(문화나 생활양식을) 미국화하다' 라는 뜻으로 사전에 올라가있다.
ps) '야동'이란 검색어로 아직도 google을 통해 이 블로그로 오는 사람이 있다.. ㅡ,.ㅡ
리퍼러중 최대라고나 할까...? ㅎㅎㅎ
( http://ryan.tistory.com/entry/펌-야동의-지존 참고.. )
이후로 갑자기 내 블로그에 상당한 접속수를 보였다.
왜인지를 곰곰히 생각하다 리퍼러를 찾아봤는데..
어이없게도 구글인 것이다.. -_-;;
'이상하다.. cyworld아니면 tistory밖엔 없을텐데...' 생각하던중..
리퍼러를 클릭하자.. -_-;;;;;
구글에서 '야동'으로 검색을 한 것이었다.
검색순위 두번째로 검색되었다..
그래서 방문자 수가 많은 것이었삼.. ㅋㅋ
아무래도 야동이란 단어가 없어지거나 사람들의 관심이 없어지지 않는한..
내 블로그의 인기(?)는 영원하리.. 크크크
-
루돌프 2006.08.23 15:59
푸핫... -_- 이럴수가;;
저는 루돌프라고 치면 맨 위에 나오긴 하지만ㅋ
야동의 인기를 루돌프가 이기기는...
닉네임을 야동으로 해볼까.. ㅠㅠ